구분 영역별 목표
지식
·경제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 활용과 경제 운영 원리 이해
·경제현상에 내재된 인과 관계 이해
·미래의 경제변동 예측과 창의적 대응 능력 함양
기능
·합리적인 의사결정
·사회·경제 정보의 수집, 분석, 평가를 통한 경제문제 해결
·능동적인 사회 참여 능력 함양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경제 과목은 10학년까지 국민
공통교육과정을 이수한 뒤에 보다 심화된 내용을 11·12학년과정에서
선택과목으로 이수하도록 되어있다. 고등학교 경제 과목은 체계적인
경제지식과 사고력 및 가치관을 토대로 하여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
서 경제적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
을 추구한다. 여기서 민주시민으로서 요구되는 경제적 자질이라는 것
은 경제적 사고력과 경제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한다. 경제 학습을
통하여 현대 사회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다양한 생활 속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경제 교육과정의 세부 목표는 뱅크스(J. A. Banks)가 제시한 지
식, 기능, 가치 태도 영역으로 하위 목표를 나누고 있다. 민주시민으
로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기능뿐만 아니라, 개
인의 경제생활 및 국민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합리적인 태도와
바람직한 가치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경제 과목의
영역별 교육 목표는 다음 -1과 같다.
가치·태도
·경제주체로서 갖추어야 할 경제 가치 및 태도 함양
·책임 있는 민주 시민의 역할 수행을 위한 가치관 형성
·개인 생활과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태도 함양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경제의식의 정의
경제는 자원과 자본, 노동 등 경제적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
지만, 비경제적 요소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비경제적 요소란
경제행위의 주체인 인간정신과 관련된 것으로써, 경제의식이나 경제
윤리 등을 포함한다.
경제주체의 행동에 있어 물적 요소가 아닌 정신적 요소 혹은
윤리적, 문화적 요소의 중요성으로 막스 베버(M. Weber, 1904)의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근대 자본주의를 성
립시킨 사람들은 근검, 절약, 성실, 경건, 자애를 생활신조로 하여 지
상 생활을 통해서 신의 영관을 높인다는 신앙에서 비합리적인 충동
을 단절시키고 인간을 계획적 의지의 지배에 종속시켜 자본주의 발
전에 기초를 굳힌 것이라는 금욕적 합리주의 정신 주장 이래로, 슘페
터(J.A. Schumpeter)는 기업인의 창조적 혁신정신으로 그리고 투 웨
이밍(Tu Wei-Ming)은 전통적 유교윤리와 청교도 윤리가 결합된 신
유교윤리로 경제학의 제 분야에서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다(김관수,
1996에서 재인용).
인간의 경제에 대한 태도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경제적 행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절한 자원의 공급은 변화요구 (0) | 2016.05.21 |
---|---|
부양의 대한 이론적 기틀은 기본적으로 가족체계이론 (0) | 2016.05.12 |
부산지역의 경우는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 (0) | 2016.05.10 |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0) | 2016.04.20 |
본 연구의 공공재실험의 목적은 중고등학생들의 공공재 공급 (0) | 2016.04.08 |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