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할 수 있는 충분하고 적절한 자원의 공급은 변화요구
의 정의와 평가에 영
향을 미치며 또한 사용된 대처자원들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불충분
한 자원들은 요구에 대한 부정적인 정의, 고통의 정의 그리고 요구의 회피결
과로 유발된 대처방법에 잘 기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족조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족은 적어도 세 가지의 조정 대
처전략인 회피, 제거, 그리고 흡수(동화)를 각기 사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한
다. 대처전략의 첫 번째, 회피는 스트레스와 다른 요구들을 부정하거나 무시
하는 가족의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현재의 스트레스는 스스로 사라지거
나 해결될 수 있다는 희망과 신념으로서 내적인 가족조정에서 무시해도 될
정도의 양으로 불린다. 두 번째, 제거는 스트레스를 변경 또는 제거하거나 또
는 스트레스의 정의를 변경함으로 모든 요구들 그 자체를 제거하기위한 가족
의 능동적인 노력이랄 볼 수 있다. 이러한 회피와 제거 반응 모두 가족의 구
조 내에서 변혁(수정)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가족단위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보
호하는 역할을 한다. 세 번째 조정 대처 전략인 흡수(동화)는 기존구조와 상
호작용의 양식에 의해 생성된 요구를 받아들이는 가족의 노력을 포함한다. 가
족체계 안에서 단지 미세한 변화를 만듦으로써 가족은 요구들을 받아들인다
(예: 빚을 갚는 것, 직장에서 근무시간을 줄이는 것, 가사 일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는 것. 양육시설 이용에 동의하는 것, 등).
정적인 적응에서부터 부적인 적응까지 다양한 연속성을 따르는 조정은 요
구에 대응하기 위한 세 가지 가족조정대처전략들의 결과이다. 조정은 가족곤
경에서 발생하는 요구를 충족하는 가장 도움이 되는 하나의 대처 전략 또는
조합한 대처전략들에 대응하는 가족의 내적 강점과 능력을 반영한다. 변화의
첫 번째 단계에서 가족이 만든 변화들은 제한적이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변천 과정 (0) | 2016.06.17 |
---|---|
부양자의 건강이 신체적·사회적 스트레스 (0) | 2016.05.28 |
부양의 대한 이론적 기틀은 기본적으로 가족체계이론 (0) | 2016.05.12 |
부산지역의 경우는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 (0) | 2016.05.10 |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0) | 2016.04.20 |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