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를 통해 제공되는 학교
경제교육과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학교 밖 경제교육으로 구
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학교 경제교육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알아
보고,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경제교육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
다.
학교 경제교육의 개념을 이영기(1969)는 경제생활을 통하여 효



과적인 의사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최병모(1986)는 좁은 의미로 초 중
등학교에서의 사회과 교육의 일환, 넓은 의미로 학교 밖 사회교육에
서의 경제교육이라고 정의한다. 정정도(1987)는 학교 경제교육의 목
적을 시장경제 체제하에 고도 산업 사회에서 생활하는 시민의 논리
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것, 임천순(1988)은 학교 경제교육은 학생들
로 하여금 경제 이해력 수준을 배양하게 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제생활 속에서 접하는 학습 활동이라
고 하였다. 이태근(1992)은 학교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의 테두리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경제의 기본 원리에 입각한 논리적 사고력
을 배양하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통해서 스스로 현실을 인식
하고 합리적 경제 행위를 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 16 -


시메스(S. S. Symmes, 1987)는 학교 경제교육의 목표는 학생들
이 학교를 졸업하게 될 때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들이 접하게 되는 주
요 경제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관한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
력 개발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경제적으로 사고하는 방
법(economic way of thinking)이 중요한 까닭은 특정한 경제문제나
단편적인 사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변하지만 훈련된 사고방식과
분석 방법은 변하는 제반 경제문제에 변함없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
이다(이재웅, 1987에서 재인용).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은 학문자체를 익히고 배우는데
근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현상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원리
와 그 상호 관련성을 깨닫고 그 위에서 유능한 민주시민의 자질을
양성하여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이를
위한 학교 경제교육의 목표는, 첫째, 경제현상들을 지배하는 기본 원
리를 습득하는 것, 둘째, 일상생활에서의 경제 문제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배양하는 것, 셋째, 경제 발전에 참여하여 복지사회 건
설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다(조도근, 1992).
요컨대, 학교 경제교육은 기본적인 경제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탐구 기능, 의사 결정 기능 및 참여 기능 등의 지적 기능을 강조함으
로써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여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계
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고 정리해 볼 수 있다.



WRITTEN BY
희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