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 경제실험 수업을 개발 및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교사가 다수 양
성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경제(학)교육 관련 경제실험 연구가 활발
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자가 직접 실험을 개발한 사례는 드물다. 한국 경제
수업에 적합한 실험 주제 실험 내용 및 실험 방법 개발을 통한 경제실험 수
업의 토착화를 함께 진행시켜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재실험만의 경제시민성 함양 효과를 입증하였다. 년
도부터 현재까지의 우리나라 경제교육 및 경제학교육 관련 경제실험 연구는
경제의 다양한 개념 및 주제들이 경제실험 수업을 통해 다뤄질 수 있음

을 보
여주었다. 이들 개념 및 주제들의 상당수는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에 등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공공재실험이 아닌 다른 경제실험의 경제시민성 함양
효과에 대해 후속 연구에서 입증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대현().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James A. Banks의 의
사결정모형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대현(). 『시민교육과 사회과』. 경기도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강민숙(). “학생들의 기업 인식에 관한 고찰 경제실험을 사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운선(). “경제 교육에서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한 평가 방안 모색 시장



실패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선택형 심화학습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
연구』. 제권. 한국사회과교육학회.
곽한영(). “촛불시위 참여가 청소년들의 정치의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효능감 참여의무감 관심도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호 별책 ) 사회과 교
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권남훈(). “고등학교 심화과정 경제관련 교과서에 대한 평가”. 『경제교육연
구』. 제권 호 한국경제교육학회.
권재현 · 윤선영(). “성인학습자들의 학습태도가 평생학습 참여 및 학습의 사
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권 호.



김경모(). “경제학의 구조 경제적 사회화 경제적 시민성”. 『사회와교육』. 제
집. 한국사회과교육학회.
김경모(). “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경제 윤리 교육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기본 고려점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제권. 한국사회과교육학
회.


WRITTEN BY
희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