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발전문가 1인, 경제교육운영전문가 2인, SNS 활용
수업전문가 2인, 교
수설계 전문가 1인 등 총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집단을 구성하고 인터뷰를
통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최적의 환경에 맞는 모형을 설계 구
성하고, 현장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수렴하고, 후속조치를 조속히 취하기 위함이
다. 요구분석을 위한 질문지는 사전에 작성하여 교육전문가로부터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인터뷰의 내용은 피면담자에게 허락을 구하고 녹음하여 전
사하였다. 모형의 적용 후 수집된 심층면담, 감상문, 성찰일지 등 질적 자료의
분석은 경향성이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Miles & Huberman, 1984;
Wolcott, 1994) 내용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의 기준으로는 모형초안 설계
를 위해 도출한 학습원칙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작업 이후 경제체험교육 전문가 2인과 교수설계 전문가 2
인에게 해석된 내용에 대한 평가를 부탁한 결과 해석과 의미가 정확하게 도출
되었다는 결론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 최
대한 배제된 객관적인 해석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대체적 분쟁해결(ADR)의 개념 및 특징 (0) | 2016.12.10 |
---|---|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 (0) | 2016.07.12 |
효율성과 공정성 (0) | 2016.06.25 |
최근 우리나라의 심각한 문제로 다시 불거진 저축은행 (0) | 2016.06.20 |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변천 과정 (0) | 2016.06.17 |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