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시점인 조정단계와 가족위기 후에 발생하는 적응단계로 나뉜다. 그리고
전쟁 등과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장기간 분리된 가족들이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위기에 대한 대응이 단계별로 변화한다고 설명하고 있다(McCubbin,
et al., 1983b:20, 재인용).
McCubbin, et al.,(1983b)은 이러한 변화를 불가피하고 필연적인 변화에
대하여 인정하는 단계인 저항(Resistance), 구조와 행동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인 재구성(Restructuring), 내부기능의 강화 또는 안정을 위한 단계인 통
합(Consolidation)과정으로 구분하였다.
1. 가족 위기에 대한 반응단계
1) 가족저항 (Family Resistance)
가족들은 구성원에 문제가 발생함을 인지할 경우 일차적으로 상황을 알리
거나 현실의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는 방법으로 증거를 확인하지 않는다. 또는
일시적 상황으로서 정의하고 결과를 지켜보려하는 등 분열 형태의 여러 모습
을 보인다. 이렇듯 여러 형태의 반응을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어떤 경우에서든
지, 구조화된 또는 기능적인 가족단위를 막는 중요한 어떤 변화를 만드는 것
에 저항한다. 대부분의 경우, 현 상황을 믿기 싫어하고 그들의 삶의 방식과
가족 구조가 달라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확신을 고수한다. 그리고 가족기능
과 온전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족의 일상 내에서 최소한의 변화를 만든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변화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을 인식하게 된다. 결국 저항으로 인한 대처전략의 부족함이 가족위기로 나타
나게 된다는 것이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에 사용된 대표적 이론 및 연구 (0) | 2016.05.26 |
---|---|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는 친밀감에 부정적 영향 (0) | 2016.05.25 |
부양의 개념과 정의 (0) | 2016.05.11 |
방식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무엇인지 이해 (0) | 2016.04.29 |
총 20차시로 구성되며, 3단원 경제생활의 기초는 시장구매체험 (0) | 2016.04.28 |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