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동기 및 규칙이 경제 발전에 지대한 관련이 있는데,
이를 좀바르
트(Somvart, W.)는 경제적 지향, 경제의식이라 하였다. 그는 경제의
식을 주관적 정신, 즉, 경제 주체를 규제하는 목적, 동기, 행위, 규율
의 총칭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경제의식의 문제가 경제사회를 이해
하는데 불가결한 요소로 보아 경제제도를 이해하려면 기술, 질서, 정
신·의식을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밝혀야 된다고 하였다(권오익 외,
1982). 아울러 경제의식의 문제는 경제 사회를 이해하는데 불가결하
다고 보아 경제체계 내에 도입하였다. 경제의식을 분석하면, 경제활
동의 목표를 규제하는 경제윤리, 그 행동양식을 규제하는 행동원리,
대인관계를 규제하는 조직 원리의 3요소로 구분하고 이 요소들에 욕
망충족주의와 영리주의(경제윤리), 인습주의와 합리주의(행동원리) 및
연대주의와 개별주의(조직원리)라는 대응개념을 부여한다. 경제의식
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인습주의, 연대주의와 결합된 욕망충족주의 그
리고 합리주의, 개인주의와 결합된 영리주의로 구별하고 이 영리주의
를 자본주의 정신이라고 하였다(신태환 외, 1976).
경제의식에 관한 다른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권오익(1972)
은 경제의식(economic mentality)에 대해 민간이 경제적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제에 대한 가치지향, 경제적 행위에 대한 주체
적 가치의식, 혹은 평가적 태도(value attitude)라고 명시했다. 정병
기·홍기룡(1995)은 인간 생활의 기초를 이루는 물질적 개회의 생산,
분배, 소비의 행위 및 그것을 통하여 형성하려는 사회관계 등의 경제
현상에 관한 심리적 행동적 인식 체계라 보았다. 또한, 최병모(1997)
는 인간의 무한한 욕망과 유한한 자원 간의 갈등 속에서 희소성, 생
산, 소비, 분배, 국민 소득, 국민경제, 국제 경제 등과 같은 주요 경제
개념에 대한 인식이라 설명한다. 조영달(1985)은 경제의식이 경제주
체에 있어서 그 경제 행위의 목표, 원칙과 함께 행위를 일으키는 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양의 개념과 정의 (0) | 2016.05.11 |
---|---|
방식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무엇인지 이해 (0) | 2016.04.29 |
총 20차시로 구성되며, 3단원 경제생활의 기초는 시장구매체험 (0) | 2016.04.28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지니고 바람직한 (0) | 2016.04.27 |
대인적 교섭 양식을 규정하는 종합적인 개념 (0) | 2016.04.19 |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