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따

청소년반 주요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희순 2016. 4. 21. 11:13


이향규 외(2010)는 탈북청소년 초기적응교육을 위한 하나원 하
나둘학교 청소년반 주요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를 하였다. 여기에
서 탈북청소년을 위한 사회교과 교육과정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탈북청소년 면담을 진행하여
하나둘학교 사회교과서를 개발하였다.
그 밖에도, 장세면(2004)은 하나원 하나둘학교의 사회과 수업의
교수방법과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탈북청소년을 위한 사회과 학습지
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정진곤(2011)은 탈북청소년의 의식과
사고방식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을
통해 탈북청소년의 남한적응 사례와 태도, 의식에 대한 내용을 분석
하였다.
2) 청소년 경제의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경제이해도 조사 연구는 경제교육의 효과성을 객관화
하여 경제교육의 방향과 내용요소를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




는 편이나, 청소년의 경제의식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의식을 조사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
다.
김경근(1994)은 청소년 경제의식 조사 보고서에서 전국 중·고등
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경제 현실관 및 미래관, 경제현안에 대한
견해 및 전망, 저축 및 소비행태, 직업관, 결혼관 및 경제적 자립관,
국제화 의식, 학교 경제교육의 유용성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영달(1995)은 한․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부의 시장개입, 노
동조합, 기업의 행동양식과 규모, 소비의 척도로서의 가격의 비중 등
에 대한 경제의식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한국 청소년이 일본 청소년
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동조합에 좀 더 우호적이었으며, 경쟁의 인식
에서도 결과보다는 과정을 더욱 중시한다고 결론에서 설명하였다.
김재원·최호상(2002)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관, 경제의
식, 경제활동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돈 관리의 중요성이나 경제적 자


립심 등에 대한 교육이 학교나 가정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경제주체의 역할이나 우리경제의 문제점에 대
한 학생들의 인식이 낮아 가정과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이 강조될 필
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최병모·김정호·허인숙(2004)은 세계화와 지식기반 경제시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