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3차부터 통합교육이 추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3차부터 통합교육이 추가
로 포함되어 이제 유아교
육 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은 보편화된 학습의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유아를
위한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노영희,2006;Bredekamp &
Rosegrang,1995).통합교육과정은 유치원 뿐만아니라 초등학교,중학교,고
등학교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으며,통합교육 지지자들은 통합교육 과정이
21세기 교육과정의 모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을 하고 있다(노영
희,2006).그 이유는 통합교육과정은 유아의 학문적인 성취를 저해하지 않
으면서 유아의 다른 부분의 발달을 강화시키는데 절적하였기 때문이다.유
아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문적인 판단은 유아가 무엇을 할 수 있
느냐의 차원을 고려해야 하므로 유아가 어릴수록 더욱 더 비형식적이고 통
합된 교육과정이 되어야 한다(Bredekamp& Rosegrang,1995).통합적 교육
방법은 이처럼 유아기에 적합하며 유아가 가장 잘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방
법으로 여겨져 왔다.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개념은 유아의 전인 교육과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유아의 경험,흥미 및 요구와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
하고,유아와 유아 주변의 인적 및 물적 환경을 통합하며,유아의 몸과 마
음,지성과 감성,현실과 상상,지식과 태도 및 기능 등을 통합할 수 있도록
교과목들을 통합적으로 재조직하고,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며,학습한 지식 또는 사고 방법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
고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사고 방법을 학습해 가도록 하는 것이다(교육과
학기술부,200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