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경제적 소양을 갖추고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
비생활, 직업생활, 정보소양, 글로벌 경제소양 등 4가지 영역에 대한
경제의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
필요한 경제적 시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제교육을 강화함과 동
시에 경제교육 담당교사에게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세계화와 지식기
반시대에 맞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조병철(2006)은 사범대학생들의 경제의식, 경제지식 및 경제행
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범대학생들이 우리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에도 불구하고 세계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시장 매커니즘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설명하면서 학교교육
에 있어서 효율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민주홍·손희전(2008)은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경제의식을 분석한 결과, 소비행동 면에서 다소 우려스러운
양상이 보이고 있다는 점, 경제 현안들에 대해서 70~80% 이상 심각
하다고 인식하는 점,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경제교육 유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 등을 문제로 지적하
였다.
장경호(2009)는 고등학생의 자아관이 경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자기이해·사회생활과 관련된 자아관과 자기 실천·자기 재
능에 관련된 자아관은 유행보다는 실용성에 기초한 소비행동을 취하
고 경제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한 반면, 자기 실천·자기 재능과 관련된
자아관은 실용성보다는 유행을 좇고 경제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게 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외국의 경우에는, John C. Soper & William B. Walstad(1983)
가 경제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적절한 도구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
하면서 2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경제태도 측정도구(Survey on
Economic Attitudes: SEA)를 개발하여 경제태도에 대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Barbara J. Phipps & E. Clark(1993)은 SEA에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경제태도와 경제교양 두 가지 측면에서 경제적 통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조사 연구를 하였다. William B.
Walstad(1983)는 경제에 대한 태도, 의견, 이해도에 대하여 정의내리
면서 경제태도는 인식,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고 설
명하였다.
'재미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스트레스 모델 (0) | 2016.05.13 |
---|---|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 (0) | 2016.05.01 |
탈북청소년의 이러한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적 절한 교육 (0) | 2016.04.25 |
남한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 (0) | 2016.04.14 |
집 앞에 쌓인 눈 치우기 (0) | 2016.04.11 |
WRITTE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