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제자리걸음을 하던 맥주시장은 '07년 상반기에 7%가량 성장했고,
아이스크림 산업 또한 비수기(10월~3월)매출비중이 회사별로 30%를 넘는
곳도 있다(과거의 일반적인 빙과류의 비수기 매출은 20%대로 증가하고 성
장).25)이처럼 매출이 증가하는 산업의 경우,제품 운반 시 냉방(동)장치에
가득 담아 실어 나르는 경우가 발생하여,냉각비용의 상승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방(동)장치의 효율성 증대 문제나
청량감과 신선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용기의 개발 등의 해결해 나
아가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되는 등 청량음료와 아이스크림 산업에 꼭 필요한 적응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라.기타산업
여름 휴가철,수상레저 활동자의 수가 급증해 긍정영향을 받는 산업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레저사고도 증가추세로 밝혀져 취약성이 드러났다.특
히 2009년 여름 철원군 한탄강에서 래프팅 보트타기를 하다 전복돼 일행 7
명 중 급류에 휩쓸려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고,이에 앞서 정선군 광
하리 강변에서도 같은 사고로도 1명이 숨졌으며,인제군 내린천에서도 같은
사고로 1명이 숨지는 등 래프팅 보트타기 등의 수상레저가 인기를 끌면서
생명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26)이처럼 여름 스포
츠 및 레저 활동에 따른 산업의 문제점들과 취약성들도 발견되었다.
냉장(동)시스템의 경우,지구온난화에 따라 큰 몫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이것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여 이에 대한 취약성이
발견되고 있다.슈퍼마켓과 마트 등에서 발생하는 탄소의 1/4가량은 대형냉장(동)시스템 때문이며



이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와 문제해결 방안이 없다
는 취약성이 영국의 환경조사 단체인 EIA(Environmental Investigation
Agency)에 의해 조사 발표되어 문제점이 드러났다.이들이 발표한 '냉정한
사실-대형 수퍼마켓의 냉장시설 문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지구온난화 효
과를 보면 냉장고에 사용되는 수소불화탄소(Hydrofluorocarbons,HFCs)가
이산화탄소(CO2)보다 수천 배나 더 강력한데,각국 정부가 오존층을 파괴하
는 순환성 냉매인 클로로플루오르카본(Chlorofluorocarbons,CFCs)등의 물
질만 규제해 온 결과,HFC가 냉장시설의 대안물질로 간주되어 오던 HFCs
가 오존층 파괴 이외에도 강력한 지구온난화 효과 주범인 가스임에도 불구
하고 무시되어 온 것으로 밝혀졌다.2005년 기준으로 영국에 조사된 대형
슈퍼마켓 냉장(동)시설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HFCs는 런던-뉴욕 사이를
비행기로 250만번 운항할 양의 CO2량과 맞먹는 200만 톤인데,차라리 CO2
와 같은 온실가스 등을 이용한 배출하는 방식이 낫다고 밝혔다.CO₂를
HFCs의 대용으로 쓸 경우 지구온난화 효과가 약 1/10,000로 줄어들지만,


이들 물질을 이용한 냉장시설로 대체하는 데도 비용이 들고,관련 기술자들을양성하는 것 역시 해결해 나아가야 할 난제이다.



WRITTEN BY
희순

,